제주항공 사고 착륙지점 및 속도분석. 생각보다 빠름. 충돌직전 258km/h(?)
https://youtu.be/ICF2fA3DZNw
제주항공 2216편 사고 당시 착륙지점과 속도를 분석해봤습니다.
제보자가 영상을 찍은 위치와 주변 건물을 이용해서 착륙지점을 추축했고,
흙구간을 미끄러질 때의 속도를 추측해봤습니다.
예상했던 대로 포장구간에 비해 흙구간에서 속도가 줄었지만
흙구간의 미끄러지는 속도는 258km/h로 생각보다 빨랐습니다.
일반적인 착륙속도 즉 착지 시점의 속도가 260km/h라고 하니
동체착륙으로 한참을 미끄러지며 속도를 줄였으나
둔덕에 다다랐을 때 생각보다 속도가 높았습니다.
00:00 오프닝
00:58 이번 사고에서 속도가 중요한 이유
02:27 그알 분석 방법 소개
06:09 돌종의 분석 방법 소개
06:52 제보자가 영상 찍은 위치 특정
10:08 CAD를 이용한 분석
10:33 착륙지점 추측
11:30 그알 착륙지점과 비교
12:12 활주로 끝 구간 미끄러지는 속도 추정
17:30 흙구간 미끄러지는 속도 추정
19:40 마무리.
참고영상: 그것이 알고 싶다.
https://youtu.be/vsgiGqS96sk?si=8WM-XrMUOrR7964-
#제주항공 #무안공항 #토목구조기술사 #둔덕 #토목공학 #토질역학
#구조공학 #착륙 #충돌 #속도 #로컬라이저 #토목시공기술사
#토질및기초기술사 #도로및공항기술사 #콘크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