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둔덕7

제주항공 사고 착륙지점 및 속도분석. 생각보다 빠름. 충돌직전 258km/h(?) 제주항공 사고 착륙지점 및 속도분석. 생각보다 빠름. 충돌직전 258km/h(?)  https://youtu.be/ICF2fA3DZNw제주항공 2216편 사고 당시 착륙지점과 속도를 분석해봤습니다. 제보자가 영상을 찍은 위치와 주변 건물을 이용해서 착륙지점을 추축했고, 흙구간을 미끄러질 때의 속도를 추측해봤습니다. 예상했던 대로 포장구간에 비해 흙구간에서 속도가 줄었지만 흙구간의 미끄러지는 속도는 258km/h로 생각보다 빨랐습니다. 일반적인 착륙속도 즉 착지 시점의 속도가 260km/h라고 하니 동체착륙으로 한참을 미끄러지며 속도를 줄였으나  둔덕에 다다랐을 때 생각보다 속도가 높았습니다. 00:00 오프닝 00:58 이번 사고에서 속도가 중요한 이유 02:27 그알 분석 방법 소개 06:09 돌종의 .. 2025. 1. 23.
국토부가 해외에도 있다던 콘크리트 둔덕 확인해보니...(ft.토목구조기술사) 국토부가 해외에도 있다던 콘크리트 둔덕 확인해보니...(ft.토목구조기술사) https://youtu.be/IHWJmB4BDhU국토부는 사고 다음날 해외에도 콘크리트를 이용해서  로컬라이저 높이를 높인 사례가 있다고 했습니다. 콘크리트라는 재료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기초의 높이와  활주로에서부터의 거리가 중요하지만  그것은 언급하지 않고 콘크리트라는 재료만 언급했습니다. 하지만 국토부가 이야기한 해외 공항의 로컬라이저의 기초는  국토부가 이야기한 것과 달랐습니다. #무안공항 #제주항공 #보잉737 #로컬라이저 #콘크리트둔덕 #토목구조기술사  #토목시공기술사 #도로및공항기술사 #토질및기초기술사 #토목엔지니어  #엔지니어 #토목공학 #CivilEngineering #항공기사고 2025. 1. 22.
무안공항 둔덕 위에 콘크리트를 친 이유 (ft. 토목구조기술사) 무안공항 둔덕 위에 콘크리트를 친 이유 (ft. 토목구조기술사) https://youtu.be/XNOLh6juFW0기체 이상으로 동체착륙한 제주항공 737기가 둔덕에 충돌하면서 다수의 사망자가 발생했습니다. 로컬라이저의 특성상 활주로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야 해서 처음에 시공할 때부터 둔덕을 쌓았었습니다.  흙으로 된 둔덕 안에는 콘크리트 벽까지 있었습니다. 2023년 로컬라이저 개량공사를 하면서 콘크리트를 더 두껍게 쳤습니다. 왜 콘크리트를 두껍게 치게 된 것인지 추정해봤습니다. 처음에 둔덕을 만들 때부터 이해할 수 없는 수직벽체를 만들었는데  수직 벽체와 로컬라이저의 개수가 달랐기 때문에 횡방향 강재를 보내고  그 위에 로컬라이저를 설치했었습니다. 국토부 발표에는 유지관리 차원에서 상판콘크리트를 쳤다고.. 2025. 1. 22.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정량적 검토를 위한 둔덕 등 제원 확인(ft.토목구조기술사)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정량적 검토를 위한 둔덕 등 제원 확인(ft.토목구조기술사) https://youtu.be/D94HOcX2rkk동체착륙을 시도한 여객기가 미끄러지다가 둔덕과 충돌하면서 폭발한 사고에 대해서  둔덕에 대해서 논란이 생길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이제 토목엔지니어로서 둔덕의 무게, 여객기의 무게, 착륙 속도 등을 고려해  둔덕이 흙으로만 되어 있는 경우,  콘크리트 벽체가 있는 경우, 상판 콘크리트가 있는 경우 등을 정량적으로 검토해보고자 합니다. 이에 첫번째 영상으로 관련된 제원들을 확인해봤습니다. 활주로의 길이, 경사, 활주로 끝에서부터 공항 경계까지의 경사, 높이 등을 확인해보았습니다. 경사도 측정 프로그램 브이월드 데스크탑 : https://www.vworld.kr/deskto.. 2025. 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