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10 제주항공 2216 사고 둔덕 없을 때 민가에 충돌? 제주항공 2216 사고 둔덕 없을 때 민가에 충돌? https://youtu.be/gqXrotuHLNw둔덕이 부러지기 쉬운 구조로 되어있었으면 비행기가 공항 밖으로 나가 민가에 충돌했을 거라는 생각들을 검토해봤습니다. 지난 영상에서 밝혔듯이 예상 정지거리가 230m정도여서 400m나 떨어진 민가까지 미끄러질 수 없다는 생각으로 영상을 만들지는 않았는데 댓글로 민가 충돌 가능성을 제기하시는 분들이 있어서 검토해봤습니다. 결론은 민가들은 높은 곳에 있어서 비행기가 미끄러져서 충돌할 확률은 매우 낮습니다. #제주항공 #사고 #무안공항 #둔덕 #펜션 #충돌 #토목구조기술사 #도로및공항기술사 #토목시공기술사 #토질및기초기술사 #토목공항 #공항 2025. 1. 23. 제주항공 사고 여객기. 둔덕 없을 때 정지거리 계산해봤습니다.(ft.토목구조기술사) 제주항공 사고 여객기. 둔덕 없을 때 정지거리 계산해봤습니다.(ft.토목구조기술사) https://youtu.be/jm25GB9yfxc둔덕이 없었으면 제주항공 2216은 어디에서 멈췄을까? 계산해봤습니다. 둔덕위치에서의 속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속도로 마찰계수를 계산하고 속도와 마찰계수를 이용해서 정지거리를 계산했습니다. 00:00 오프닝 00:23 터치다운부터 활주로 끝까지의 구간별 속도 계산 01:00 속도가 늘어난 구간이 있음. 02:48 MBC, 그랑, 돌종의 속도 분석 교차 검증 05:54 정지거리 수식 개념 07:10 정지거리 수식 검증(자동차 제동거리 계산) 09:25 둔덕 위치에서의 순간속도(평균속도와 순간속도는 다름) 16:11 흙구간은 마찰로 감속하는 것은 아님(EMAS와 비슷) 18:1.. 2025. 1. 23. 제주항공 사고 착륙지점 및 속도분석. 생각보다 빠름. 충돌직전 258km/h(?) 제주항공 사고 착륙지점 및 속도분석. 생각보다 빠름. 충돌직전 258km/h(?) https://youtu.be/ICF2fA3DZNw제주항공 2216편 사고 당시 착륙지점과 속도를 분석해봤습니다. 제보자가 영상을 찍은 위치와 주변 건물을 이용해서 착륙지점을 추축했고, 흙구간을 미끄러질 때의 속도를 추측해봤습니다. 예상했던 대로 포장구간에 비해 흙구간에서 속도가 줄었지만 흙구간의 미끄러지는 속도는 258km/h로 생각보다 빨랐습니다. 일반적인 착륙속도 즉 착지 시점의 속도가 260km/h라고 하니 동체착륙으로 한참을 미끄러지며 속도를 줄였으나 둔덕에 다다랐을 때 생각보다 속도가 높았습니다. 00:00 오프닝 00:58 이번 사고에서 속도가 중요한 이유 02:27 그알 분석 방법 소개 06:09 돌종의 .. 2025. 1. 23. 국토부가 해외에도 있다던 콘크리트 둔덕 확인해보니...(ft.토목구조기술사) 국토부가 해외에도 있다던 콘크리트 둔덕 확인해보니...(ft.토목구조기술사) https://youtu.be/IHWJmB4BDhU국토부는 사고 다음날 해외에도 콘크리트를 이용해서 로컬라이저 높이를 높인 사례가 있다고 했습니다. 콘크리트라는 재료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기초의 높이와 활주로에서부터의 거리가 중요하지만 그것은 언급하지 않고 콘크리트라는 재료만 언급했습니다. 하지만 국토부가 이야기한 해외 공항의 로컬라이저의 기초는 국토부가 이야기한 것과 달랐습니다. #무안공항 #제주항공 #보잉737 #로컬라이저 #콘크리트둔덕 #토목구조기술사 #토목시공기술사 #도로및공항기술사 #토질및기초기술사 #토목엔지니어 #엔지니어 #토목공학 #CivilEngineering #항공기사고 2025. 1. 22.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