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둔덕9

무안공항 둔덕 위에 콘크리트를 친 이유 (ft. 토목구조기술사) 무안공항 둔덕 위에 콘크리트를 친 이유 (ft. 토목구조기술사) https://youtu.be/XNOLh6juFW0기체 이상으로 동체착륙한 제주항공 737기가 둔덕에 충돌하면서 다수의 사망자가 발생했습니다. 로컬라이저의 특성상 활주로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야 해서 처음에 시공할 때부터 둔덕을 쌓았었습니다.  흙으로 된 둔덕 안에는 콘크리트 벽까지 있었습니다. 2023년 로컬라이저 개량공사를 하면서 콘크리트를 더 두껍게 쳤습니다. 왜 콘크리트를 두껍게 치게 된 것인지 추정해봤습니다. 처음에 둔덕을 만들 때부터 이해할 수 없는 수직벽체를 만들었는데  수직 벽체와 로컬라이저의 개수가 달랐기 때문에 횡방향 강재를 보내고  그 위에 로컬라이저를 설치했었습니다. 국토부 발표에는 유지관리 차원에서 상판콘크리트를 쳤다고.. 2025. 1. 22.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정량적 검토를 위한 둔덕 등 제원 확인(ft.토목구조기술사)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정량적 검토를 위한 둔덕 등 제원 확인(ft.토목구조기술사) https://youtu.be/D94HOcX2rkk동체착륙을 시도한 여객기가 미끄러지다가 둔덕과 충돌하면서 폭발한 사고에 대해서  둔덕에 대해서 논란이 생길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이제 토목엔지니어로서 둔덕의 무게, 여객기의 무게, 착륙 속도 등을 고려해  둔덕이 흙으로만 되어 있는 경우,  콘크리트 벽체가 있는 경우, 상판 콘크리트가 있는 경우 등을 정량적으로 검토해보고자 합니다. 이에 첫번째 영상으로 관련된 제원들을 확인해봤습니다. 활주로의 길이, 경사, 활주로 끝에서부터 공항 경계까지의 경사, 높이 등을 확인해보았습니다. 경사도 측정 프로그램 브이월드 데스크탑 : https://www.vworld.kr/deskto.. 2025. 1. 22.
무안공항 둔덕 속 콘크리트벽이 기체 폭발에 미친 영향(ft.토목구조기술사) 무안공항 둔덕 속 콘크리트벽이 기체 폭발에 미친 영향(ft.토목구조기술사) https://youtu.be/ObAYgaG55wE30년 넘게 토목설계했지만 도저희 이해할 수 없는 무안공항 둔덕 속 콘크리트벽들. 기체가 폭발하게 된 이유와 둔덕 속에 콘크리트 벽이 있을 때와 없을 때의 차이를 검토해봤습니다. 부득이 기체가 폭발하는 장면이 포함되었다는 점을 양지해주시기 바랍니다. 다시는 이런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정부는 관련 기준을 재정비하고 건설 관련 전문가들이 제대로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에도 신경써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무안공항 #항공기사고 #둔덕 #로컬라이저 #콘크리트벽  #토목구조기술사 #토목시공기술사 #토질및기초기술사  #토목공학 #토질역학 #구조역학 #동체작륙 #활주로  #전도 .. 2025. 1. 21.
토목엔지니어 관점에서 본 무안공항의 둔덕. (ft.토목구조기술사) 토목엔지니어 관점에서 본 무안공항의 둔덕. (ft.토목구조기술사) https://youtu.be/hpjUgAGpH7g흙과 구조물을 다루는 토목엔지니어 관점에서  이번 사고에서 주목받고 있는 둔덕에 대해서 검토해봤습니다. 둔덕의 유무와 위치 관련해서는 차치하고라도 둔덕을 도대체 어떻게 시공한 것인지 도무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토목엔지니어는 흙과 구조물과  도무 다루는데 이번 둔덕은 토목엔지니어로서 생전 듣도 보도 못한 계획입니다. 왜 콘크리트 벽들을 세운 것인지? 콘크리트 벽은 어떻게 세웠는지? 콘크리트 벽 아래에 벽을 세우기 위한 기초가 별도로 있는 것인지? 좁은 공간에서 어떻게 흙을 다졌는지... 사고로 운명을 달리하신 분들의 명복을 밀벼 유가족 여러분들에게 위로의 말씀 전합니다. #토목구조기술사 .. 2025. 1. 21.